프로그래밍/Spring Boot
[Spring] ResponseEntity에서 객체를 반환할 때 new 연산자 사용
연유뿌린빙수
2024. 11. 26. 20:11
ResponseEntity 반환
ResponseEntity 객체 반환
1. 정적 팩토리의 사용
예시 코드
return 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INTERNAL_SERVER_ERROR)
.body(errorResponse);
Response.status(), ResponseEntity.ok() 등 메서드를 사용하면 코드가 간결해지면서
매개변수의 순서가 어떻게 되든 상관 없이 알아서 메서드를 사용하여 설정하면 됨
직접 new를 사용하여 생성자를 호출할 필요 없기에 깔끔함
객체 생성 방식이 코드에 노출되지 않아 더욱 유연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구조를 가질 수 있음
2. 직접 new 생성자를 사용
예시코드
return new ResponseEntity<>(errorResponse, HttpStatus.INTERNAL_SERVER_ERROR);
직접 new 생성자를 통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
단순하고 명확하지만 유연성은 떨어질 수 있으며, 매개변수 순서를 기억해야함
스프링에서는 주로 1번과 같은 정적 팩토리의 사용방식을 추구한다!